6주차 화요일, 27일차 Today I Learned
스프링부트 개발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2)
: DB, Network
✏️ 학습 내용
1. DB
데이터베이스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은 SQL과 NoSQL이 있다.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고, NoSQL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NoSQL의 유형은 Key-Value, Graph, Document, Column store 이렇게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DB 인스턴스는 클라우드에서 실행하는 격리된 데이터베이스 환경이다. DB 인스턴스에는 여러 사용자가 만든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독립 실행형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액세스할 때 사용하는 도구 및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액세스할 수 있다. RDS는 서버리스가 아니다.
NoSQL의 Document 형태에 포함되는 DocumentDB는 MongoDB API 워크로드의 완전 관리 및 유연한 확장이 가능한 문서전용 데이터베이스이다. JSON 데이터를 요구하며, 유연한 인덱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MongoDB는 Document 지향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 중복이 발생할 수 있지만, 접근성과 가시성이 좋다. 스키마 설계가 어렵지만, 유연하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게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다. 확장 시에는 애플리케이션을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DynamoDB는 완전관리형 Key-Value 기반 NoSQL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이다. 데이터가 쌓일수록 자동으로 용량이 늘어나고, 유휴 시 암호화를 제공하여 중요한 데이터 보호와 관련된 운영 부담 및 복잡성을 제거한다. DynamoDB를 통해 원하는 양의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고 어느 수준의 요청 트래픽도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https://dev.mysql.com/downloads/workbench/ 에서 워크벤치를 설치할 수 있다.
MySQL :: Download MySQL Workbench
Select Operating System: Select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Ubuntu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 / Oracle Linux Fedora macOS Source Code Select OS Version: All Windows (x86, 64-bit) Recommended Download: Other Downloads: Windows (x86, 64-bit), M
dev.mysql.com
2. Network
Route53은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DNS (도메인 이름 시스템) 웹 서비스로, 도메인 등록, DNS 라우팅, 상태 확인을 조합하여 실행할 수 있다. Route53은 퍼블릭 호스트 존과 프라이빗 호스트 존이 각각 존재한다.
Certification Manager는 SSL/TLS 인증서를 등록하고 발급하고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줄여서 ACM이라고도 하며, 이를 사용하여 AWS 서비스 및 연결된 내부 리소스에 사용할 공인 및 사설 SSL/TLS 인증서를 프로비저닝, 관리 및 배포할 수 있다. ACM은 SSL/TLS 인증서를 구매, 업로드 및 갱신하는 데 드는 시간과 소모적인 수동 프로세스를 대신 처리해준다.
CloudFront는 뛰어난 성능, 보안 및 개발자 편의를 위해 구축된 CDN 서비스이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애플리케이션의 웹 페이지 로드 속도를 높이는 상호 연결된 서버 네트워크이다. 정적, 동적 콘텐츠로 나뉘며, 캐싱, 동적 가속, 엣지 로직 계산 기능이 있다. CloudFront는 대기 시간 감소, 보안 향상, 비용 절감, 사용자 정의 전송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ELB는 Elastic Load Balancing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리소스 풀 전체에 네트워크 트래픽을 균등하게 배포하는 방법이다. 로드밸런서는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 (로드)를 분산 (밸런싱)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이다.
VPC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다. VPC는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존 네트워크와 아주 유사한 가상 네트워크로, VPC를 생성한 후 서브넷을 추가할 수 있다. 서브넷이란 VPC의 IP 주소 범위이다.
☁️ 소감
어렵다 어려워
'Data Engineering > grepp 데브코스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023.11.23] 스프링부트 개발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4) : 배포~서비스 구성 실습, AWS CLI (0) | 2023.11.23 |
---|---|
[TIL_2023.11.22] 스프링부트 개발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3) : IAM, S3, CI/CD (1) | 2023.11.22 |
[TIL_2023.11.20] 스프링부트 개발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1) : 클라우드 서비스, EC2, Elastic Beanstalk (1) | 2023.11.22 |
[TIL_2023.11.17] SQ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5) : 트랜잭션과 기타 고급 SQL 문법 (0) | 2023.11.20 |
[TIL_2023.11.16] SQ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4) : JOIN 소개 (1) |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