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주차 월요일, 26일차 Today I Learned
스프링부트 개발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1)
: 클라우드 서비스, EC2, Elastic Beanstalk
✏️ 학습 내용
1. 클라우드 서비스
AWS (Amazon Web Services)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 데이터 센터에서 200개가 넘는 완벽한 기능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적으로 가장 포괄적이며 많이 사용되는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다. 물리적인 데이터 센터와 서버를 구입, 소유, 관리하는 대신에 AWS와 같은 클라우드 공급자로부터 필요에 따라 컴퓨팅 파워,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기술 서비스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이전 기업의 인프라는 물리적으로 서버를 구매하고 관리해야 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인해 민첩성, 탄력성, 비용절감, 온디맨드, 관리 용이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클라우드 유형은 리소스 할당 관점에 따라 On premises, IAAS, PAAS, SAAS로 구분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품은 아마존 AWS 외에 마이크로소프트 Azure, 구글 GCP, 오라클 OCI, IBM Cloud, Alibaba Cloud, KT Cloud, 네이버 NCP 등이 있다.
AWS 기본 용어 :
클라우드 서비스는 가상화 기반이다. 가상화란 물리적 컴퓨터 하드웨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세스이며,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가상 머신 (VM)은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물리적 컴퓨팅을 시뮬레이션하는 가상 환경이다. 일반적으로 VM의 구성, 가상하드 드라이브의 스토리지, 특정 시점에 해당 상태를 유지하는 VM의 일부 스냅샷을 포함한 다수의 파일들로 구성되어 있다. 스냅샷은 마치 사진 찍듯이 특정 시점에 스토리지의 파일 시스템을 포착해 보관하는 기술이다.
데이터 센터는 수많은 서버들을 한데 모아 네트워크로 연결해 놓은 시설로, Region (지역)에 데이터 센터가 존재하고, 하나의 지역은 두 개 이상의 Availability Zone (가용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EC2
EC2는 AWS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AWS 사용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는 서비스이다. 서버를 할당 받은 후에 그 서버를 통해서 서비스를 하게 되는데, 이렇게 서버를 할당받는 것을 말한다. 논리적인 서버를 할당하는 EC2의 기능은 인스턴스, AMI, 키 페어, EIP, VPC, 태그 등 다양하다.
네트워크 및 보안 메뉴에 가면 '탄력적 IP' 메뉴가 있는데, 여기서 주소 할당을 하여 탄력적 IP 주소 연결이 가능하다. 특정 방화벽을 열거나 특정 IP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이를 이용하면 인스턴스가 탄력적 IP로 변경된다. 물론 반납도 가능하다.
3. Elastic Beanstalk
쉽게 말하면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서비스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인프라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도 AWS 클라우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선택 또는 제어에 대한 제한 없이 관리 복잡성을 줄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기만 하면 용량 프로비저닝, 로드 밸런싱, 조정, 애플리케이션 상태 모니터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 소감
월요일부터 수업이 어려운 적은 거의 처음인 것 같다. AWS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했는데 갑자기 많은 용어들이 휘몰아치니까 이해하기 힘들었다. 왜 중요하고, 무슨 용도이고.. 이러한 것들 부터 파악을 해야 하는 것 같다. 필요성을 인지하고 배우는 사람과는 달리, 필요하다고 하여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배움에 있어서 어려운 것 같다. 이번 주의 강의들은 나중에 다시 들어야 할 것 같다. 먼저 개인적으로 차근히 공부를 해볼 예정이다.
'Data Engineering > grepp 데브코스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_2023.11.22] 스프링부트 개발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3) : IAM, S3, CI/CD (1) | 2023.11.22 |
---|---|
[TIL_2023.11.21] 스프링부트 개발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2) : DB, Network (1) | 2023.11.22 |
[TIL_2023.11.17] SQ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5) : 트랜잭션과 기타 고급 SQL 문법 (0) | 2023.11.20 |
[TIL_2023.11.16] SQ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4) : JOIN 소개 (1) | 2023.11.20 |
[TIL_2023.11.15] SQL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3) : GROUP BY와 CTAS - GROUP BY와 AGGREGATE 함수, CTAS와 CTE (1) | 2023.11.20 |